로고

청치과의원
로그인 회원가입
  • 커뮤니티
  • 자주하는 질문
  • 커뮤니티

    자주하는 질문

    자주하는 질문 목록

    1. Q 레진이 무엇인가요?

      A
      일반적으로 충치치료에 사용하는 레진(Resin)은, 플라스틱 계열의 치아색 치과 재료로, 충치를 긁어내고 당일에 레진을 채워 넣어 딱딱하게 굳혀줌으로써 깔끔하게 치료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당일 치료를 마무리 할 수 있고, 치아색이 나며, 다른 충치치료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에 치료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단점은 시간이 지나면 레진 주변 변색이 오며, 경우에 따라서 레진치료 후 과민증이 올 수 있는데, 그 증상으로는 시린증상과 씹지 못할 정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과민증의 경우 치과에 꼭 내원해주셔야 합니다. 방치할 시 신경치료가능성도 있습니다.
    2. Q 인레이가 무엇인가요?

      A
      인레이(Inlay)는 in 안에, lay 놓는다는 뜻으로, 어금니에 생긴 충치를 제거한 뒤 본을 떠서 치아의 빈 공간을 금이나 세라믹 등의 재료로 끼워 넣는 충치치료 재료입니다.

      치료과정은 충치 제거 후 치아형태를 본 떠서 환자분이 결정하신 재료로 인레이를 제작하게 됩니다. 제작기간은 1주일가량 소요되며, 그 동안에는 임시고무재료로 메워드리며 임시재료 부위는 치실을 따로 사용하면 안 되며, 캬라멜, 껌, 떡, 엿처럼 찐득한 음식을 드시게 되면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3. Q 충치치료 후 임시재료(임시치아)가 떨어졌는데 어쩌죠?

      A
      임시 재료들은 비교적 잘 떨어질 수 있습니다.

      치과에 방문하시면 다시 붙여드리니 임시 치아는 깨지지 않게 잘 보관하여 가지고 오시기 바랍니다.
    4. Q 보철물의 기본수명은 얼마인가요?

      A
      평균 수명은 약 8~10년 정도로 관리에 따라 수명이 연장, 단축 될 수 있지만 분명한 것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레이, 온레이, 크라운의 경우 접착제로 접착을 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접착제가 녹으며 틈이 생기고 그 틈을 통해 다시 충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부분 틀니의 경우에는 남아있는 치아를 못 쓰게 되면 틀니 자체를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남아있는 치아 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틀니로 음식을 씹을 때 힘이 잇몸에 전달되기 때문에 잇몸 속에 있는 치조골이 흡수되어 낮아지기 때문에 대개 2년에 한번은 잇몸과 닿는 부위를 수리를 해 주어야 합니다.
    5. Q 미백효과는 얼마나 지속될까요?

      A
      치아미백 후 몇 년의 시간이 지나면 음식이나 담배, 음료, 차 등에 의해 치아가 착색되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하여 치아색이 다시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재미백시술 등 사후관리에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6. Q 미백하면 치아가 많이 약해지지 않나요?

      A
      미백은 치아의 표면에 있는 착색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치아에는 손상을 주지 않습니다.
      단, 치아미백치료중 이가 시린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는 미백제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미백시간을 조절하면 시린 증상은 바로 없어집니다.
    7. Q 라미네이트가 잘 떨어지지는 않나요?

      A
      라미네이트가 떨어지는 것은 드문 일입니다. 라미네이트 시술 경험이 많은 치과에서 제대로 받기만 한다면, 떨어지는 것은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일반 치아처럼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자연치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듯이 라미네이트 역시 시술 후 정기검진과 꾸준한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8. Q 라미네이트 치료과정 때 일상생활 하는데 불편한 건 없을까요?

      A
      라미네이트를 시술하는 경우 치아표면만을 얇게 다듬기 때문에 붓기와 통증이 없으며 처음 시술 후 마지막 시술까지 최종 보철물에 가까운 임시 보철물을 장착해 드리므로 라미네이트 시술 전과 다름없이 생활 하실 수 있습니다.
    9. Q 교정치료에도 부작용이 있나요?

      A
      치아교정의 부작용은 대부분 교정중 치아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은 경우 생기는 것들입니다. 이런 문제들은 대부분 주의사항을 잘 지키시면 예방되며 치아 표면의 탈회, 잇몸 염증, 치근 흡수 등의 문제점이 생기더라도 경미한 수준으로 그칠 수 있습니다.
    10. Q 교정 치료 중 장치가 떨어졌어요.

      A
      이런 교정장치의 탈락은 주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장치를 부착하고 음식을 드시게 될 때면 가끔 장치 사이에 음식물이 끼이게 되고, 그로 인해 장치 사이가 벌어져 교정 와이어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병원을 내원하지 않으시고 정기 치료날짜까지 그냥 두시게 될 경우 장치가 잇몸을 찔러 상처가 날 수 있으며, 장치가 떨어진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교정 치료 중이던 치아가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 가려는 힘 때문에 교정 기간이 늘어나게 될 수 있습니다.
    11. Q 교정기간 동안에 먹는 것은 크게 상관없나요?

      A
      치아에 붙인 교정장치는 치아에 무해한 접착제와 같은 것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식습관에 따라 장치가 탈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 끈적거리는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오징어나 쥐포 땅콩 등의 딱딱한 음식과 카라멜, 엿, 껌 등의 끈적거리는 음식은 가급적 삼가 주시고 총각김치나 사과, 배 등 베어먹어야 하는 음식은 한 입에 들어가게끔 작게 잘라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 일반적인 식사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12. Q 치아교정을 부분적으로만 받을 수도 있나요?

      A
      일반인이 보기에는 부분적으로만 삐뚤어져 보이는 경우에도 보통은 위아래 이가 함께 잘못 배열된 경우가 많으며 치아가 잘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아래 치아를 같이 치료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치아가 빠진 부위로 주위 치아가 쓰러진 경우나 충치나 치아 파절로 몇 개의 치아만 움직여도 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인 치아교정이 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13. Q 치아교정을 하면얼굴형이 변하나요?

      A
      입이 튀어나온 경우에 어금니를 발치 후 앞니를 뒤로 집에 넣으면 입이 들어가면서 턱선이 갸름하게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4. Q 치아교정을 하고 나면 치아가 정말 약해지나요?

      A
      교정치료는 뼈 속에 있는 치아를 움직이게 되므로 개인에 따라서 치아의 뿌리가 1~2mm정도 짧아질 수 있습니다.
      교정치료 전보다 조금은 약해지는 셈이죠. 그러나 그 정도는 평생 치아를 사용하는데 무시할 만한 수치입니다. 교정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구강질환으로 치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생각한다면 어떤 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15. Q 교정진료는 언제 가야하나요?

      A
      교정치료 시 치아의 이동은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내의 세포사이의 반응을 이용하는 치료로써 그 세포반응을 고려하여 3~6주 간격으로 내원하는데, 평균적으로 한 달에 1~2회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빠른치료를 위하여 무리한 힘을 가했을 경우 치아이동이 느려지거나 치아 뿌리가 짧아지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힘이 전해져야 치아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정해진 약속날짜에 맞추어 내원 하시면 됩니다. 진료 약속을 잘 지키지 않으면 치료 기간의 연장과 치료의 난이도 증가할 우려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게시물 검색